반응형
오늘 주제는 'PER과 PBR의 차이'입니다.
PER, PBR은 주식 투자할 때 꼭 알아야 하는 ‘주가가 적정한지’ 판단하는 지표예요.
단어도 비슷하고 둘 다 ‘주가 ÷ 어떤 값’이라 헷갈리기 쉬운데요,
오늘은 B와 E, 한 글자만 기억하면 구분이 쏙 됩니다!
2. 핵심 개념 정리 – PER과 PBR은 ‘주가를 나누는 기준’이 다릅니다
✅ PER (Price to Earnings Ratio)
- 공식: 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- 뜻: 주가가 이익의 몇 배인가?
- 쉽게 말해: “이 회사, 돈 잘 버는 만큼 가격이 적당한가?”
🔹 EPS란?
1년 동안 회사가 번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.
✅ PBR (Price to Book Ratio)
- 공식: PBR = 주가 ÷ 주당순자산가치(BPS)
- 뜻: 주가가 자산의 몇 배인가?
- 쉽게 말해: “이 회사가 가진 자산에 비해 주가가 비싼가?”
🔹 BPS란?
회사의 총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이에요.
3. PER = E, PBR = B! 한 글자로 구분 끝!
지표 | 기준 | 쉽게 말하면 |
PER | Earnings (이익) | 얼마나 벌고 있나? |
PBR | Book Value (자산) | 얼마나 가지고 있나? |
🪙 PER은 이익 기준
→ 회사가 얼마나 이익을 내고 있는지를 보고 가격이 비싼지 판단
🏦 PBR은 자산 기준
→ 회사가 보유한 자산에 비해 주가가 싼지 비싼지 판단
4. 숫자로 직접 계산해볼까요?
🔍 예시: 어떤 회사의 정보
- 현재 주가: 50,000원
- EPS (주당순이익): 5,000원
- BPS (주당순자산): 25,000원
계산
- PER = 50,000 ÷ 5,000 = 10
→ 주가가 이익의 10배! - PBR = 50,000 ÷ 25,000 = 2
→ 자산의 2배 가격에 거래되고 있네요.
5. PER과 PBR, 언제 어떻게 쓰면 좋을까요?
지표 | 의미 | 활용 팁 |
PER | 주가 ÷ 이익 |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, 성장주에 자주 사용 |
PBR | 주가 ÷ 자산 | 1 이하일 경우 자산보다 싸다, 가치주 분석 시 활용 |
✅ PER이 낮은 종목
- 이익 대비 싸게 거래되고 있을 가능성
- 단, 이익이 일시적으로 높을 수 있으니 지속성 체크!
✅ PBR이 낮은 종목
- 청산해도 이득이 날 수 있는 가치주 가능성
- 특히 은행/보험 업종은 자산 중심이라 PBR 분석이 유리해요
6. 🧠 짬박사의 한마디
👉 “PER은 E, PBR은 B! 주가가 ‘이익 기준인지, 자산 기준인지’만 구분하면 절반은 성공입니다.”
PER은 수익성을,
PBR은 안정성과 자산 가치를 보는 창이에요.
두 지표를 함께 보면 ‘지금 이 주식이 싸다’는 확신이 조금 더 생깁니다.
반응형
'짬짬이 공부 기초 다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[짬공 기초] 시가총액 높은 기업 = 성공적인 투자? 진짜 핵심은 따로 있어요! (0) | 2025.04.07 |
---|---|
📌 [짬공 기초] 부자들은 왜 한국 주식을 안 살까? (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과 전략) (1) | 2025.04.03 |
📌 [짬공 기초] GDP란? GNP·GNI와 뭐가 다른가요? (경제성장률 보는 법) (0) | 2025.03.30 |
📌 [짬공 기초] EPS와 BPS, 이름은 비슷한데 무슨 차이야? (0) | 2025.03.28 |
📌 [짬공 기초] ROE? 회사가 돈을 얼마나 잘 굴렸는지 보는 법 💸 (+ PER과의 진짜 관계도 설명!) (1) | 2025.03.27 |